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주택] 용산 - 도시의 맛 <용산 푸르지오써밋&레미안>
    국내 부동산 2022. 12. 24. 03:11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 <용산 센트럴 푸르지오 써밋> 상가의 MD를 구성하고 입점 MOU까지 따내는 업무를 한 적이 있기에 이곳을 조금 알고 있다.

     

    용산역 전면구역으로, 원래 용산역 앞의 군인들을 상대로 각종 군장점과 집창촌이 몰려있던 지역이었다.  그 이후 각종 포장마차가 들어서 직장인들의 집결지가 되기도 했었다. 이 지역을 모두 헐고 구역 재정비를 한 후에 필지를 두 개로 분할하여 한쪽은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, 한쪽은 용산 푸르지오 써밋으로 재개발하게 되었다. 2014년 분양하였고, 미분양이 일부 있었지만 공사에 들어가 2017년 완공후 입주하였다.

     

    1.  용산 푸르지오 써밋(주상복합)

    용산-푸르지오 써밋

    -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69

    - 2017.08 준공

    - 아파트 151세대 / 오피스텔 650세대 

    - 주차대수 : 아파트 336대(세대당 2.22대) / 오피스텔 426대(세대당 0.65대)

    - 동이 달라, 주차공간도 아파트와 오피스텔은 다름.

    - 아파트 평수 40-70평대까지 다양하게 보유

    - 오피스텔 평수 8~15평

    - 지하 9층, 지상 36~39층

    - 시공사 : 대우건설

     

    - 아파트 매매가 : 28-50억(평수에 따라 상이함.)

    - 오피스텔 매매가 : 원룸형(27 제곱형)_5억-7억 / 1.5 룸형(48 제곱 9-11억)

    - 아파트 전세가 : 15억 - 25억 

    - 오피스텔 전세가 : 원룸형(27 제곱형)_3.5억 / 1.5 룸형 (48 제곱)_4.8억

    아파트인 주거동과 오피스텔인 업무동으로 나뉘어 있다. 대우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인 푸르지오 써밋이 처음 적용된 

    건축물이다.

     

     

    2.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

   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

    -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95

    - 2017.05 준공

    - 아파트 195세대 / 오피스텔 782세대 

    - 주차대수 : 아파트 476대(세대당 2.44대) / 오피스텔 652대(세대당 0.83대)

    - 아파트 평수 53-90평. 대. 형. 평. 형

    - 오피스텔 평수 13~24평

    - 지하 9층, 지상 40층

    - 시공사 : 삼성물산

     

    - 아파트 매매가 : 35-55억

    - 오피스텔 매매가 : 9-17억)

    - 아파트 전세가 : 12억 - 26억  (12억 급매전세가 네이버 매물로 올라와있는데... 평수/입지대비 괜찮다 생각됨)

    - 오피스텔 전세가 : 5억-8억

    - 5~19층까지는 오피스텔 782실, 20층에는 스카이브리지가 있으며, 21~39층까지는 아파트, 40층은 펜트하우스이다.

     

    푸르지오 써밋-창문으로 보이는 용산전경

    푸르지오써밋을 더욱 추천한다. 거실의 창이 빗살 없이 크고 시원하게 트여있으며 한강 및 도시를 동시에 바라보고 있다. 반면에 래미안의 경우, 한강은 써밋이 가렸고 도시만 조망 가능하다. 조망만 놓고면 푸르지오가 더 좋다는 말이지, 전체적으로 따졌을 때 래미안이 비싼 이유는 명확하다. 래미안의 경우, 신용산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. 그리고 무엇보다 평수가 푸르지오보다 크다.  

     

    이제 간략히 요약하자면, 두 곳 모두 용산역 - 신용산역 사이에 있어 1호선과 4호선을 모두 가깝게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입지이다. 다만 주상 복합이고 오피스텔 세대수 가 많아 주거지로서의 역할이 미흡하다(학교가 용산에 많지 않고, 학원도 없어서... 학부모들이 역시 강남으로 갈 것이다.) 그러나 직장인 신혼부부들이라면 직장과의 위치가 용이하고, 지방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